The Korean Society for Western Medieval History

본회는 서양중세사의 연구와 이와 관련된 학술활동 및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학회지/연구발표


pISSN: 1229-4454

Korea Society for Western Medieval History , Vol.45. (2020)
pp.133~197

DOI : 10.21591/jwmh.2020.45.1.133

서양 중세 문장 상징체계의 형성과 발달 : 14세기 문장지를 중심으로

주나미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연구원)

이 글의 목적은 14세기 문장지들의 구성과 특징을 분석해 서양 중세 문장 상 징체계의 형성과 발달 과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작자 미상의 『드 에로디』와 이 탈리아의 법학자 바르톨로 다 사소페라토의 『표장과 문장에 대하여』, 요한네스 데 바도 아우레오의 『문장에 관한 논고』는 후대의 문장학과 문장지의 발달에 큰 영향을 끼친 문헌들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 세 문헌들의 구조와 특성을 비교해 살펴보면서 중세 문장의 상징체계와 규범들이 어떤 사회적 배경에서 어 떻게 형성・발달해 갔는지를 살펴본다. 1300년 무렵에 나타난 『드 에로디』는 실용적 목적에서 제작된 기존의 도록 유형 문장지의 블레이즌 형식과 용어들을 그대로 가져왔다. 그러나 서열에 따라 배열되던 문장들을 색채와 형상이라는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다시 분류했다. 이 런 시도는 소박한 형태이나마 색과 무늬, 동식물과 무생물의 형상에 따라 문장 을 분류하고 용어를 규정하는 체계적인 문장지가 등장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 다. 14세기 중반에 바르톨로는 문장지에 문장의 소유권에 대한 법률적인 이론 체계를 새로 추가했다. 또 색채와 형상의 사용에 관한 규칙과 그것을 뒷받침하 는 논리도 제공했다. 이러한 문장지의 변화는 문장의 구성과 사용에 관한 규범 들이 법적 효력을 지닌 사회질서로 자리를 잡으며 변화해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14세기 후반에 요한네스는 앞의 두 전통을 수용하면서 여기에 문장 의 색채와 형상의 정치적・상징적 의미에 관한 해석들을 덧붙이려 했다. 15세 기를 앞두고 문장의 상징체계는 마침내 봉건 사회의 질서와 가치관을 구현하고, 그것을 수호하는 역할까지 맡게 된 것이다. 요컨대 14세기에 출현한 이 세 문헌들은 문장학이 그것의 세 가지 핵심 요 소, 곧 색채와 형상에 기초한 ‘분류’, 문장을 소유하고 사용하는 ‘규칙’, 문장에 담긴 ‘상징적 의미’에 관한 이론들을 잇달아 체계화해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곧 문장지가 문장관의 직무적 필요라는 실용적인 목적을 넘어서서 일종의 법적 권한을 획득하고, 나아가 특정한 이데올로기를 설파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확산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까지 쓰이게 된 것이다.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eraldic Symbol System in the Middle Ages : Fourteenth-Century Treatises on Heraldry

Na-Mi JU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ymbol system in medieval heraldry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14th century heraldic treatises. Anonymous’s De Heraudie and Italian jurist Bartolo da Sassoferrato’s De Insigniis et Armis and Johannes de Bado Aureo’s Tractatus de Armis are treatises that have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later heraldry and heraldic literature. Therefore, this paper compar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treatises. In so doing, it examines how the symbol systems and norms of medieval heraldry were formed and developed in what social background. De Heraudie , written about 1300, brought the blazon form and terminology from the existing Roll of arms that is produced for practical purposes. However, in De Heraudie , arms, arranged according to rank, were reclassifi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color and shape. This attempt demonstrates that systematic heraldic treatise began to emerge, classifying arms and defining terms according to colors, patterns, and objects. In the middle of the 14th century, Bartolo added a new lega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ownership of arms. He also provided rules about the use of colors and shapes and the logic behind them. These changes show that the norms, regarding the construction and use of arms, have been changing and becoming a social order with legal validity. In the late 14th century, Johannes embraced the previous two traditions and furthermore attempted to add interpretations of the political and symbolic meaning of the colors and forms of arms. Around the turn of the 15th century, the heraldic symbol system finally took on the role of embodying and defending the order and values of feudal society. In short, these three treatises that emerged in the 14th century show that heraldry systemized theories about its three key elements one after another: ‘classification’ based on color and form, ‘rules’ of owning and using, and ‘symbolic meaning’ of arms. In other words, heraldic treatise became a means to obtain a kind of legal authority beyond the practical purpose of the duties of herald, to preach certain ideologies, and to maintain and spread social order.

Download PDF list